티스토리 뷰

1장 아마존 웹 서비스 기초 지식

1.1 아마존 웹 서비스란: 아마존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AWS에서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 전체를 빌릴 수 있다. (소프트웨어까지 포함)

- AWS에는 다수의 서비스가 있으며,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 요금은 종량제이므로 사용한 만큼 지불한다.

- AWS는 기술을 잘 모르는 사람도 운영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전문가가 아니어도 사용할 수 있다.

 

1.2 AWS의 서비스: 165개 이상의 서비스 제공

- AWS에는 서비스가 165개 이상 있다.

- AWS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웹 서버를 구축하고 싶을 때 모바일 시스템을 구축하고 싶을 떄
서버(EC2)
서버 OS(AMI)
IP 주소(Elastic IP)
스토리지(S3)
도메인(Route 53)
DB 서버(RDS)
애플리케이션 서버(EC2)
DB 서버(RDS)
통지 시스템(SNS)
스토리지(S3)
IP 주소(Elastic IP)
인증 서버(Cognito)
콘텐츠를 배포하고 싶을 때 IoT를 구축하고 싶을 때
서버(EC2)
캐시 서버(CloudFront)
IP 주소(Elastic IP)
도메인(Route 53)
API 서버(IoT Core)
DB 서버(DynamoDB/RDS)
분석 도구(ElasticSearch)
머신 러닝을 개발하고 싶을 때 로봇을 만들고 싶을 때
머신 러닝 모델(Machine Learning, SageMaker)
이미지 동영상 인식(Rekognition)
음성 인식(Transcribe, Lex)
로봇 프레임워크(RoboMaker)

AWS 중에서도 특히 대표적인 서비스 몇가지

Amazon EC2 Amazon S3
Amazon Elastic Compute Cloud는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서버, OS, 소프트웨어 등을 세트로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사양이 준비되어 있고 자유롭게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미 세팅된 서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성능은 가변적이며 일시 정지 중에는 언제든 성능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는 오브젝트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웹 서버 및 파일 서버용 파일을 보관하는 장소(스토리지)로 사용할 수 있다.
S3는 강력하고 다양한 기능이 있어 장애 및 에러에 강할 뿐만 아니라 강력한 관리 기능이나 다른 서비스와 연동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파일 크기는 최대 5TB이며, 전체 용량의 제한은 없다.
Amazon VPN Amazon RDS
Amazon VPN은 AWS 계정 전용의 가상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 및 서브넷의 범위, 라우팅 테이블 및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등을 설정하고,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한다. Amazon RDS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6종류(Amazon Aurora, PostgreSQL, MySQL, MariaDB, Oracle Database, SQL Server)를 클라우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Amazon Route 53 Elastic IP 주소
Amazon Route 53는 DNS(도메인 네입 서버)이다. 웹 서버에 필수인 DNS 기능을 제공한다. Elastic IP 주소는 서버에 필수인 정적 공인 IP 주소를 제공한다. EC2 및 ELB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Amazon Managed Blockchain Amazon SageMaker
Amazon Managed Blockchain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생성,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이다. 데이터 위조 및 변조를 확인하는 기반으로 이용할 수 있다. Amazon SageMaker는 머신 러닝 모델을 구축, 트레이닝, 배포할 수 있다. 머신 러닝에서 자주 사용되는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을 클라우드로 제공한다.
AWS Cloud9 Amazon GameLift
AWS Cloud9은 웹 브라우저로 조작이 가능한 통합 개발 도구이다. 각종 언어에 대응하고 컴퓨터에 개발 도구를 설치하지 않고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Amazon GameLift는 게임 호스팅 서비스이다. 멀티플레이어 대전 등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짧은 대기 시간으로 제공한다.

 

1.3 AWS의 비용: 초기 비용은 저렴하지만 운영 비용이 조금 비싸다

- AWS 요금은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종량제이다.

- 경우에 따라서는 자사에서 준비하는 것이 저렴할 수도 있다.

- 돌발적으로 접속 수가 늘어나는 경우에는 AWS를 사용하는 게 더 이득이다.

 

1.4 AWS의 사용 방법: 누구라도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관리 콘솔로 AWS를 웹 브라우저에서 운영할 수 있다.

- 매니지드 서비스로 각 서비스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적으로도 안심할 수 있다.

 

1.5 AWS의 도입 사례: 대기업이나 정부기관에서 도입하는 경우도 다수

- 국내도 많은 기업이 AWS를 도입하고 있다.

- AWS를 어떻게 도입해야 할지 잘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2장 AWS를 이해가기 위한 클라우드 & 네트워크의 구조

2.1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조

- 클라우드란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다.

- 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 클라우드 컴퓨팅은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마음대로 서버나 인프라를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 온프레미스(on-premises)란 자사에서 서버 등을 구축하는 것이다.

- 온프레미스는 자사에서 자유롭게 설계, 운영할 수 있지만 그만큼 서버 구성을 빈번하게 변경해야 할 수도 있고, 이를 대비한 숙련된 기술자도 필요하다.

 

2.2 가상화와 분산 처리: 클라우드를 지탱하는 2대 기술

- 가상화와 분산 처리는 클라우드를 지탱하는 큰 기술이다.

- 가상화는 소프트웨어처럼 구축하는 기술이다.

  - 서버를 예로 들어 가상 서버는 물리 서버 1대 위에 게스트가 되는 서벌 여러 대를 가상으로 생성한다. 본래 서버에 필요한 물리적인 부품을 가상으로 생성하여 가상 서버로 만드는 것이다.

  - 가상화는 소프트웨어처럼 구축하기 때문에 서버 복제가 쉽고 대수를 늘리거나 줄이기도 쉽다.

- 분산 처리는 서버 여러 대에 분산하여 처리하는 기술이다.

- 가상화나 분산 처리는 이중화에도 사용된다.

 

2.3 SasS, PaaS, IaaS

어느 수준까지 서비스가 제공되는지에 따라서 클라우드 서비스는 SaaS, PaaS, IaaS 3가지로 구분된다.

- SaaS는 애플리케이션까지 제공한다.

- PaaS는 플랫폼까지 제공한다.

- IaaS는 인프라만 제공한다.

3가지 서비스는 각각의 특징이 있다. 인프라나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것이 편리한 반면 자유도가 낮아진다. 반대로 자유도가 높을수록 작업이 어렵다. 이러한 특징을 잘 이해하고 선택하자.

SaaS (편리하다) PaaS IaaS (자유도가 높다)
- 편리한 반면 자유도가 낮다.
- 바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량이 적다.
- 특별한 지식이 필요 없다.
- 단말기 외에 준비할 것이 없다.
- 애플리케이션을 마음대로설치 할 수 있지만 대응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도 있다.
- 서버 관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 경우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사용하려면 세팅이 필요하다.
- 서버 관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 경우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2.4 서버와 인스턴스: 네트워크상에 만들어진 가상 서버

- 서버란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서버 이름이 다르다.

- 서버는 머신 1대에 여러 개를 같이 설치할 수 있다.

- 서버에도 OS는 필요하다.

- AWS에서는 서버가 인스턴스로 생성된다.

 

2.5 LAN: LAN을 구성하는 기술

- PC 등을 연결한 네트워크를 LAN이라 한다.

- LAN에는 유선과 무선이 있다.

- 폐쇄된 네트워크를 인트라넷이라 부른다.

 

2.6 IP 주소와 DNS: 네트워크의 장소를 특정하는 방법

-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호스트를 식별하는 주소이다.

- 사설 IP 주소와 공인 IP 주소가 있다.

- 공인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사용된다.

- 사설 IP 주소는 사내 LAN 이나 가정 LAN에서 사용된다.

- DNS에서 도메인명과 IP 주소는 연결되어 있다.

 

2.7 웹의 구조: 웹 사이트와 관련된 기술

- 웹 사이트의 콘텐츠는 HTML 이라는 형식으로 작성되어 있다.

- 웹 사이트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곳이 웹 서버이다.

- 대표적인 웹 서버용 소프트웨어는 Apache, Nginx가 있다.

- SSH란 서버를 설정할 때 접속하는 방법이다.

- SSL 증명서를 설치하면 통신을 암호활 수 있다.

- PHP나 자바스크립트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종류이다.

- 웹 사이트에 대한 공격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댓글